[테라피스트를 위한 자료] 두피
●두피의 기능
두피에는 혈액과 림프액이 골고루 순환하면서 피부내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한다. 피하조직에는 혈관과 림프관 조직이 좀더 작은 가지와 돌기, 모낭, 피부 샘에 뻗어 있다.
1.보호기능
피부는 인체의 내부 장기와 외부 사이에 놓여 있는 장벽이다. 과도한 마찰이 생기면 피부는 두꺼워지고 보호작용을 위해 굳은살을 형성한다. 질병을 유발하는 이물질, 상처, 박테리아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피부가 알카리성이 되면 저항력이 약해지고 세균의 번식에 의해 피부병이 생기기 쉽다. 피부의 PH는 땀과 피비에 의해 결정된다. 두피는 피지분비가 많아 PH5.5-6.5 약산성이다.
2.비타민D의 합성기능
비타민은 몸 안에서는 거이 만들어 지지않으므로 음식물로 섭취를 해야한다.
그러나 비타민D는 햇볓을 받으면 유기체에 필요한 영양소 비타민D가 저절로생성된다.
3.분비.배설의 기능
한선으로부터 노폐물과 땀을 배출하며 땀이나 피지분비를 통해 인체 내 독소를 방출하는 면역기관의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는 한선의 땀을 피부로부터 배출시키거나 땀으로 증발되는 수분에는 소금을 비롯해 다른화학 성분인 N2, CI, K, 젖산의 소량을 배출하여 세균 증식을 억제한다. 피지는 피지선에 분비되어 각질층에 표피지질을 이루어 각화되나 피지선에서 피지가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면 지루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따라서 감정상의 스트레스 역시 피지를 유출시킨다.
4.지각. 감각작용의 기능
피부는 감각신경 냉. 온. 촉. 통. 압박의 말단 부위를 통하여 더위. 추위. 감촉. 압력. 고통 등에 대한 반응을 아타내고 말단부위를 지나치게 자극하면 통증을 느낀다. 지각신경은 자율신경에 의해 반사운동이 일어나며 피부의 감각 수용기 분포는 전신에 무려 200-400만이 분포한다.
5.체온조절기능
피부는 체온을 조절하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외계에 대한 기온이 높거나 운동 후 체온이 상승하면 동맥이 확장되어 혈류가 다량 흐르게 되면서 열이 증가한다. 한선은 땀을 많이 분비하고 땀이 인체의 표면에서부터 기화되면서 냉각효과를 가져오게된다.
6.호흡기능
피부조직 내의 신진대사에 의해서 생기는 탄산가스를 피부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면서 소량의 산소를 받아들인다. 이는 피부로부터 독소를 배출하여 혈색을 맑게 해줌으로 표정을 밝게 하며 동시에 피부도 약간의 호흡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7.흡수기능
피부지방과 같은 지질이나 입자가 미세한 에멀션, 다양한 약제, 화장품 및기타 제제의 경피 흡수 등은 각질층, 세포간, 표피부속기를 경유 피부 상태에 따라 피부내로 흡수된다.
8.체액조절기능
피부는 체액이 외계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외계에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게 한다. 피부에는 각질과 지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들이 수분을 침투시키지 못하게 한다. 피부가 손상을 받거나 화상을 입는 경우에는 체액의 손실이 다량외계로 빠져나간다. 이때 미생물이 침투하게 된다.
9.저장기능
피하지방조직은 영양소 저장 밒 신진대사의 기능을 가졌으며 에너지원인 지방을 저장하고 피부에 도포한 약제 또는 유용성 물질은 각질층에 저장된 후 서서히 흡수된다. 또한 수분 저장의 능력을 갖고 있다.
10.재생기능
기저층에서 만들어진 세포는 각질층을 향해 올라가서 죽은 세포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피부의 구조
1.표피
표피는 우리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피부의 겉껍질로 이 부분은 물의 흡수를 막아주고 감연이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모발의 근원이 되는 모낭은 표피의 함몰로 발생하게 된다. 표피는 세포의 형태와 각화정도에 따라 가장 맨 아래부터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투명층, 각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층: 각질형성세포의 최종산물로 생체방어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의 구성성분으로 장벽대 역할을 한다. 이층은 케라팅이라는 핵이 없는 죽은 각질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층: 투명층은 투명층으로 엘딘이라는 반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손과 발바닥 같이 두터운 각질층 부위에 있다.
-과립층: 세포들이 이 층에서 스스로 부서지기 시작하여 이로 인해 세포가 죽기 시작한다. 납작한 세포모양으로 피부의 케라팅화가 이 층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가 있다. 세포내 케라토하이알린이 단백질을 뭉치게 한다.
-유극층: 세포사이에 다리가 연결이 되어 있는 듯하여 유극층이라한다. 세포간교의 방달로 5-10층의 다각형 세포인데 상층에 갈 수록 편평하게 된다. 림프액이 흐르고 면역세포인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자리를 하고 있다. 유극층을 가시층, 말기층이라고도 한다.
-기저층: 세포분열을 하는 기저층은 각질형성세포인 기저세포와 색소형성 세포인 멜라닌 세포가 섞여 있다. 가장 밑에 있는 층으로 단층의 원추형 또는 입방형의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2.진피
피부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진피는 1-4mm의 두께가 젤리같은 빽빽한 불규칙성의 치밀 섬유결합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이 피부의 유동성을 주고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탄력 있게 유지시켜주고 체온도 유지시켜준다. 혈관과 신경의 끝 부분이 분포되어 있어 모낭 주위의 압박과 고통을 느끼게한다. 피부세포의 증식에 의한 세포의 세대교체가 표피의 기저세포층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피부의 모든요소릐 세대교체가 진피층의 섬유아세포의 활동에 릐하여 이루어진다. 진피에는 유두진피와 망상진피로 이루어져 있다. 진피층 중에 유두진피층은 표피의 바로 밑에 존재하며 얇은 교원질 섬유가 드문드문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팽창도와 탄력도에 영향을준다. 모세혈관을 통해 기저세포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피하지방
피하조직은 진피 밑에 있는 지방세포로 개개인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에 따라서 두께가 다르다. 이지방 조직은 인체에 부드러움을 주고 윤곽을 갖게하여 준다. 체온손실을 막아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지방세포가 포함되어 있어서 피부의 외상방지와 그 밑에 있는 근육의 상처를 입지 않도록 충격흡수장치와 같은 역할을 한다.
4.모근 주변의 구조
두피에는 모낭이 1cm²당 150개 정도 있으며 피지선, 혈관, 신경조직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모낭의 수 | |
저밀도 |
120-130개 |
중밀도 |
140-160개 |
고밀도 |
200-220개 |
-모낭: 작고 긴 관 모양의 모낭은 표피가 피하조직까지 움푹 들어가 묻혀 있으며 모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모낭은 표피, 진피, 피하지방에 이르러 전구 모양의 둥근 모구가 되어 모발을 성장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
모낭의 윗부분은 피지선이 연결되어 여기서 분비된 피지는 모낭 내에서 모공으로 나와 모간부로 전달하고 모간의 끝부분까지 모발을 윤기있게 하며 모발을 보호한다.
-입모근: 입모근은 모낭의 아래에서 1/3지점에 위치하는 입모근은 일종의 근육이 표피근처까지 연결되어 있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불수의근으로 갑작스런 기후 변화라든지 공포감에 처하게 될 때 자율신경에 의해 근육이 수축하여 모공이 닫혀 체온손실을 막아준다. 입모근이 수축하면 모발이 직립 하여 모공부분이 주위의 피부보다 높아지게 된다. 수축 시 털을세우며 피지를 분비시킨다.
-모구: 모낭의 아래에 둥근 모양으로 부풀어 있는 모근의 아래부분에 원형으로 부풀려져 있는 부분으로 동그스름하게 전구모양때문에 모구라 한다. 모근이 들어가 골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여기서 털이 자라며 모기질 세포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되는 표피의 기저층에 있다. 모세혈관, 모유두, 모모세포 등이 위치하고 있다.
-모유두: 모유두는 태어날 때 부터 숫자가 결정되어 있으며 어머니의 젖꼭지 모양같이 위로 돌출되어 있다. 모구부의 가장아래 중심부분에는 오목하게 움푹 패인 부분으로 진피의 결합조직에 묻혀 있는 곳으로 모세혈관과 자율신경이 많이 분포되어있다.
-모기질: 모기질은 성장대로 모발이 여기서 생성된다. 모유두에 접해 있는부분이다.
-모모세포:모모세포는 모발의 모체로써 모유두에 접하는 곳에 존재하고 세포분열이 왕성하여 새로운 모발을 만드는 곳이다. 모모세포는 모유부로부터 영양공급을 받아 끊임없이 성장하며 모세혈관은 모발의 원료가 되는 아미노산을 모유두에 운반한다. 자율신경은 아미노산이 모유두에 도착하면 아미노산을 합성해서 케라틴 단백질을 만든다.
-피부의 분비선: 피부에는 혈액에서 공급받은 물질을 다른 물질로 형성해서 내보내는 한선과 피지선 두 종류의 분비선이 있다.
*한선: 땀을 분비하는 한선은 입술, 귀두, 고막을 제외한 전신에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손.발바닥, 겨드랑이, 음낭, 대음순, 항문 주위에 발달되어 있다. 한선에는 대한선과 소한선이 있는데 대한선은 코일모양의 분비선으로 소한선보다 몇배 크기때문에 대한선이라 하며 분비되는 땀에는 좋지않은 냄새가 있으며 양이 적고 유색이며 단백질,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고 배출되면 빨리 건조하여 모공에 말라붙는다.
*피지선: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피부지질은 지방50%, 왁스20%, 지방산5%로 구성되어 있다. 약산성으로 박테리아에 대항하고 피부건조를 막음으로 수분증발을 억제한다.
'SMB살롱&스파 > 테라피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라피스트를 위한 자료] 제모 (0) | 2014.01.24 |
---|---|
[테라피스트를 위한 자료] 두피의 종류 (0) | 2014.01.23 |
[테라피스트를 위한 자료] 서비스 품질 (0) | 2014.01.23 |
[테라피스트를 위한 자료] 서비스 경영 (0) | 2014.01.23 |
[테라피스트를 위한 자료] 동종요법 (0) | 201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