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B살롱&스파/테라피스트

[테라피스트를 위한 자료] 여드름과 호르몬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2. 10. 15:08

[테라피스트를 위한 자료] 여드름과 호르몬

 

여드름은 청소년기에 흔하게 나타나서 청소년기의 상징처럼 생각되기도한다. 남성에게도 그렇지만 특히 여성에게는 여드름은 큰 미용상의 문제로 생각된다. 결미한 경우도 있으나 심각한 경우에는 치료도 매우 힘든 경우가 많다.

 

1.원인과 증상

여드름의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유전적요인이나 호르몬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여드름의 처음 병변은 면포이다. 면포에는 하얀 편포와 검은 면포가 있다. 검은 면포 안에는 피지에 의해 엉겨붙은 각질세포 덩어리가 있다.

사춘기 동안 남성호르몬의 증가는 피지선의 증식을 자극하고 피지분비를 촉진한다.

피지는 피부세균의 영양소 이다. 이 세균이 증식하면 여러 염증물질이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염증이 발생한다.

이를 여드름이라고 한다.

호르몬은 성인 여성의 여드름을 유발한다. 여성이 폐경기에 가까워지면 에스트로겐 양이 줄고 상대적으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늘어나서 여성호르몬의 길황작용이 없어지므로 그 역할이 더 커진다. 테스토스테론은 피지선을 자극해 여드름을 유발한다. 여성들은 여드름이 성인기까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안드로겐이 여드름 발생요인이 되고 안드로겐 길항제는 여드름을 호전시킨다. 하지만 여드름 정도와 안드로겐 생산과의 상관성은 확실하지 않다.

 

2.치료

여드름이 심한 여성은 경구피임약 같은 호르몬 치료가 도움이 된다. 경구피인약은 안드로겐의 양을 감소시켜 여드름을 완화시킨다. 경구피임약은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 생산을 촉진해 부신이나 난소에서 생산된 활동성의 유리 테스토스테론을 감소시킨다. 경구피임약은 직접적으로 성선자극호르몬을 억제하여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감소시킨다.

안드로겐 과다인 환자가 경구피임약으로 적절히 호전되지 않으면 다른 항안드로겐인 스피로놀락톤이나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가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약제는 부작용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을 통해 사용해야하며 다른 여드름 치료를 병행하여야 한다.